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80년 일본시리즈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파일:마이니치 오리온즈 심볼.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주니치식 c로고.svg
1950년 일본시리즈1951년 일본시리즈1952년 일본시리즈1953년 일본시리즈195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55년 일본시리즈1956년 일본시리즈1957년 일본시리즈1958년 일본시리즈1959년 일본시리즈
파일:타이요 훼일즈 심볼(1960).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토에이 모자로고 1960s.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60년 일본시리즈1961년 일본시리즈1962년 일본시리즈1963년 일본시리즈196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1965년 일본시리즈1966년 일본시리즈1967년 일본시리즈1968년 일본시리즈196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롯데 오리온즈 엠블럼.svg
1970년 일본시리즈1971년 일본시리즈1972년 일본시리즈1973년 일본시리즈197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75년 일본시리즈1976년 일본시리즈1977년 일본시리즈1978년 일본시리즈1979년 일본시리즈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75-84).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80년 일본시리즈1981년 일본시리즈1982년 일본시리즈1983년 일본시리즈198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85-92).svg
1985년 일본시리즈1986년 일본시리즈1987년 일본시리즈1988년 일본시리즈1989년 일본시리즈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1990년 일본시리즈1991년 일본시리즈1992년 일본시리즈1993년 일본시리즈1994년 일본시리즈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오릭스 블루웨이브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로고(1996~2008).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
1995년 일본시리즈1996년 일본시리즈1997년 일본시리즈1998년 일본시리즈199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2000년 일본시리즈2001년 일본시리즈2002년 일본시리즈2003년 일본시리즈2004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드래곤즈 블루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2005년 일본시리즈2006년 일본시리즈2007년 일본시리즈2008년 일본시리즈2009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0년 일본시리즈2011년 일본시리즈2012년 일본시리즈2013년 일본시리즈2014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5년 일본시리즈2016년 일본시리즈2017년 일본시리즈2018년 일본시리즈2019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심볼.svg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국기.svg
2020년 일본시리즈2021년 일본시리즈2022년 일본시리즈2023년 일본시리즈2024년 일본시리즈





파일:1980NS 헹가래.jpg
1980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MVP짐 라이틀

1. 개요
2. 일정 및 결과
3. 경기 내용
3.1. 1차전
3.2. 2차전
3.3. 3차전
3.4. 4차전
3.5. 5차전
3.6. 6차전
3.7. 7차전
3.8. 타이틀 시상
4.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1980년 10월 25일부터 11월 2일까지 열린 일본프로야구의 제31회 일본시리즈. 센트럴리그 우승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퍼시픽리그 우승팀 킨테츠 버팔로즈가 맞붙어 히로시마가 4승 3패로 킨테츠를 꺾고 전년도 첫 우승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79년 일본시리즈에 이어 2년 연속 동일 매치로 맞붙은 시리즈로, 히로시마에나츠의 21구로 유명한 전년도에 이어 같은 스코어로 킨테츠를 꺾으며 2년 연속 일본시리즈 챔피언을 쟁취했고 반면 킨테츠 버팔로즈는 다시 히로시마를 만나 전년도의 굴욕을 만회하려 했으나 단 1승을 남겨두고 또 다시 히로시마에 무릎을 꿇고 말았다. 이 해의 히로시마를 끝으로 센트럴리그에서 일본시리즈 2연패 이상을 달성한 팀은 나오지 않고 있다.

지난 해에 이어 당시 킨테츠의 홈구장이던 일본생명 구장, 후지이데라 구장의 관중수용량, 야간경기 시설 부족[1] 등의 문제로 킨테츠 주최 홈경기는 난카이 호크스의 홈구장인 오사카 구장에서 개최되었으며, 오사카 구장에서 마지막으로 개최된 일본시리즈이기도 하다.


2. 일정 및 결과[편집]




3. 경기 내용[편집]



3.1. 1차전[편집]


10월 25일(토), 히로시마 시민 구장 (관객 수: 29,037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10회11회12회RHE
킨테츠이모토 타카시0000300010026131
히로시마야마네 카즈오200001010000461
▲ 승리투수 : 킨테츠 - 야나기다 유타카[2] (1승)
▲ 패전투수 : 히로시마 - 에나츠 유타카 (1패)
▲ 홈런 : 히로시마 - 짐 라이틀 1, 2호 (1회 말, 2점 + 6회 말, 1점) / 킨테츠 - 하다 코이치 1호 (12회 초, 2점)


3.2. 2차전[편집]


10월 26일(일), 히로시마 시민 구장 (관객 수: 29,668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킨테츠이모토 타카시0000350109141
히로시마야마네 카즈오001100000260
▲ 승리투수 : 킨테츠 - 스즈키 케이시 (1승)
▲ 패전투수 : 히로시마 - 이케가야 코지로 (1패)
▲ 홈런 : 킨테츠 - 후키이시 토쿠이치[3] 1호 (5회 초, 3점), 찰리 매뉴얼 1호 (6회 초, 3점)


3.3. 3차전[편집]


10월 28일(화), 오사카 구장 (관객 수: 17,371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히로시마후쿠시 히로아키000012001460
킨테츠무라타 타츠미002000010372
▲ 승리투수 : 히로시마 - 에나츠 유타카 (1승 1패)
▲ 승리투수 : 킨테츠 - 이모토 타카시 (1패)
▲ 홈런 : 히로시마 - 미즈타니 지츠오 1호 (5회 초, 1점), 야마모토 코지 1호 (6회 초, 1점) / 킨테츠 - 쿠리하시 시게루 1호 (9회 초, 1점)


3.4. 4차전[편집]


10월 29일(수), 오사카 구장 (관객 수: 21,254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히로시마야마네 카즈오200000000230
킨테츠이모토 타카시000000000021
▲ 승리투수 : 히로시마 - 야마네 카즈오 (1승)
▲ 승리투수 : 킨테츠 - 이모토 타카시 (2패)
▲ 홈런 : 히로시마 - 짐 라이틀 3호 (1회 초, 2점)


3.5. 5차전[편집]


10월 30일(목), 오사카 구장 (관객 수: 22,287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히로시마이케가야 코지로011000000241
킨테츠스즈키 케이시13000020X691
▲ 승리투수 : 킨테츠 - 스즈키 케이시 (2승)
▲ 패전투수 : 히로시마 - 이케가야 코지로 (2패)
▲ 홈런 : 히로시마 - 미즈타니 지츠오 2호 (2회 초, 1점)

이 경기가 오사카 구장에서 마지막으로 개최된 일본시리즈 경기가 되었다.


3.6. 6차전[편집]


11월 1일(토), 히로시마 시민 구장 (관객 수: 29,297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킨테츠무라타 타츠미000000002280
히로시마후쿠시 히로아키41001000X6100
▲ 승리투수 : 히로시마 - 후쿠시 히로아키 (1승)
▲ 패전투수 : 킨테츠 - 무라타 타츠미 (1패)
▲ 홈런 : 히로시마 - 미즈타니 지츠오 3호 (1회 초, 만루), 야마모토 코지 2호 (5회 초, 1점)


3.7. 7차전[편집]


11월 2일(일), 히로시마 시민 구장 (관객 수: 29,952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킨테츠이모토 타카시000003000381
히로시마야마네 카즈오00101222X8143
▲ 승리투수 : 히로시마 - 야마네 카즈오 (1승)
▲ 패전투수 : 킨테츠 - 스즈키 케이시 (2승 1패)
▲ 세이브 : 히로시마 - 에나츠 유타카 (1승 1패 1세이브)
▲ 홈런 : 히로시마 - 키누가사 사치오 1호 (7회 말, 2점)

2년 연속으로 히로시마가 일본시리즈 챔피언에 올랐으며, 이시야마 카즈히데[4]병살타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3.8. 타이틀 시상[편집]


이해 시리즈부터 타격상, 최우수투수상, 기능상 등이 전부 우수선수상으로 일원화되었다.

  • 최고수훈선수상(MVP)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0000 히로시마}}}]] - 짐 라이틀 (25타수 10안타, 타율 .400 3홈런 6타점)

  • 감투선수상[5] : [[킨테츠 버팔로즈|{{{#CA252B 킨테츠}}}]] - 오가와 토오루 (23타수 9안타, 타율 .391 0홈런 8타점)

  • 우수선수상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0000 히로시마}}}]] - 야마네 카즈오 (3등판 19이닝, 1완봉 2승 0패, 평균자책점 2.84)

  • 우수선수상 : [[히로시마 도요 카프|{{{#FF0000 히로시마}}}]] - 키노시타 토미오 (12타수 7안타, 타율 .583 0홈런 2타점 1도루)

  • 우수선수상 : [[킨테츠 버팔로즈|{{{#CA252B 킨테츠}}}]] - 히라노 미츠야스 (26타수 9안타, 타율 .346 0홈런 1타점)


4. 둘러보기 틀[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b30000><colcolor=#ffffff>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마쓰다 로고.svg 마츠다 ||
|| 일본시리즈 우승
★★★ ||1979 · 1980 · 1984 ||
|| 리그 우승
(9회)
||1975 · 1979 · 1980 · 1984 · 1986 · 1991 · 2016 · 2017 · 2018 ||
|| 클라이맥스 시리즈 ||2013 · 2014 · 2016 · 2017 · 2018 · 2023 ||
|| 시즌별 요약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월별문서 · 2023월별문서 · 2024월별문서 ||
||<|2> 현역 선수 경력 ||야수 | 키쿠치 료스케/선수 경력 · 아키야마 쇼고/선수 경력 · 사카쿠라 쇼고/선수 경력 ||
||투수 | 모리시타 마사토/선수 경력 · 쿠리바야시 료지/선수 경력 ||
||<|2> 경기장 ||1군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 2군 히로시마 도요 카프 유우 연습장 · 지방 홈구장 미요시 킨사이 스타디움 ||
||과거 히로시마 시민 구장 ||
|| 홈 중계 채널 ||파일:J SPORTS 1 로고.svg ||
|| 주요 인물 ||감독 아라이 타카히로 · 선수회장 오세라 다이치 · 주장 공석 · 어드바이저 쿠로다 히로키 · 스카우트 브래드 엘드레드 ||
||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카프죠시 · 2022년 센트럴 리그 3위 ||
|| 틀 문서 ||<bgcolor=#b300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마츠다 산하 구단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0:51:15에 나무위키 1980년 일본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일본시리즈는 전 경기가 낮 경기로 개최되었기 때문에 일본시리즈 개최와는 관련이 없었다.[2] 통산 110승 140패와 역대 10위인 359피홈런을 기록한 투수로, 야나기타 유키의 외삼촌이다.[3] 1975~1988년까지 킨테츠에서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활약한 선수로, 후쿠야마 마사하루의 아내인 배우 후키이시 카즈에의 아버지다.[4] 한국명은 송일수로, 이후 2014년 두산 베어스 감독을 역임했다.[5] 패배한 팀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주는 상.